1. 개론 (무의식과 자기(self)) - 영적 성숙의 주체인 자기(self)를 이해하는 다양한 논의를 소개하고, 무의식의 발견이 신앙의 이해에 끼친 영향을 알아본다.
2. 전통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영적 성숙의 단계 – 기독교 전통은 신앙의 성숙을 의미하는 성화(聖化)를 시대의 정황에 맞게 다양한 모티브로 설명해왔다. 그것의 역사와 의미를 짚어본다. 3. 회심의 관점에서 본 인간발달 이론들 – 회심은 일회성 사건이 아니다. 회심은 일생동안 계속 일어나며, 지적, 도덕적, 정서적 발달과 함께 간다. 에릭슨, 콜버그, 파울러와 같은 학자들의 인간발달 이론은 영적 성숙을 평가하는 훌륭한 척도를 제공한다. 4. 「영혼의 성」 탐구 (아빌라의 데레사) - 16세기 여성 기독교 신비가인 아빌라의 데레사는 인생의 마지막 즈음에 자신의 영적 체험을 소개하는 「영혼의 성」을 썼다. 영혼은 7개의 궁방으로 된 성이며 가장 깊은 7궁방에 하나님이 거하시는데, 이 작품은 그곳을 찾아가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영적 여정을 다룬 탁월한 기독교 고전이다. 5. 영적 성숙의 과정과 위기 (십자가의 요한) - 16세기 스페인 기독교 영성가인 십자가의 요한은 영적 성숙을 위해선 감각과 영혼의 ‘어두운 밤’을 겪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어두운 밤’의 의미와 그것이 주는 영적 유익을 알아본다. 6.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적 성숙 I (칼 융) - 분석심리학자인 칼 융은 프로이드와는 달리 신앙의 성숙을 긍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본다. 융의 인간 이해와 개성화과정 이론은 영적 성숙의 이해에 깊이를 더해준다. 7.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적 성숙 II (켄 윌버) - 자아초월 심리학의 대가인 켄 윌버는 기존 심리학의 범위를 넘어서 초월의 영역을 다루고 있다. 의식발달에 관한 그의 논의는 매우 뛰어난 통찰력을 준다. 8. 다양한 영적 성숙의 전통들 (불교, 유교) - 불교와 유교가 추구하는 성숙의 의미는 무엇이며, 기독교 전통과는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